본문 바로가기
2025 스페인여행

2025 스페인 여행 - 스페인이라는 나라

by planner_l 2025. 2. 7.
반응형

우리는 스페인이라고 부르지만 현지에서는 '에스파냐'라고 부른다. 나무위키에서 보니 대한민국 외래어표기법도 에스파냐가 맞다는데 우리나라에서 에스파냐라고 부르는 걸 공식적인 방송에서도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난 그 동안 에스파냐는 스페인의 옛이름이라고 생각해왔는데(대한민국의 '조선'같은 의미로) 오히려 에스파냐라는 말이 공인되었다고 하니 의외이다. 터키라고 부르는 걸 튀르키예라고 득달같이 정정했었는데 스페인은 그냥 두는 건가? 

 

1. 개요

스페인의 수도는 마드리드이고 인구는 2021년 기준 4,743만명이라고 한다. 면적은  50만5,370 ㎢로, 한반도의 약 2.3배나 된다. 가톨릭 신자가 약 60%가 된다고 하니 가는 곳마다 성당이 있는게 이해가 된다. 

 

2. 스페인은  '왕'이 있는 나라

의회민주주의 입헌군주국이며 내각책임제로 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왕이 있고 총리가 정부를 운영하는 것이다. 현재 왕은 펠리페6세(1968년생, 현재 57세) 이며 2014년에 즉위하였다. 재밌는 건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요트 스페인 국가대표였다고 한다(왠지 멋있음). 부황인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사치스러워서 비난을 많이 받던 중 퇴위하고 부왕과 달리 소탈하고 수더분한 매력으로 호감도가 높았던 펠리페 6세가 즉위하였기 때문에 국민들의 기대가 컸다고 한다. 펠리페6세에 대한 호감도 자체는 유지되고 있는 것 같지만 이와는 별개로 왕정자체의 폐지 여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이는 영국도 마찬가지). 2019년 문재인 정부 시절, 국빈으로 우리 나라에 방문한 적도 있다.

 

3. 스페인은 단일국가? 연방국가?

스페인은 17개의 자치주(autonomous communities) 및 2개의 자치시 (autonomous cities), 50개의 도 (province), 8,122개의 시 및 군 (municipalities) 으로 구성되어 있다. 형식상으로는 단일국가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연방국가나 다름없다고 한다. 전국의 각 지방이 고도의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어 규모는 미국보다 작지만 미국같은 연방국가의 주와 비슷하다고 한다. 자치권이 얼마나 강한지 바르셀로나가 속한 자치지방 카탈루냐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여 별도의 국가를 세우려고 한 적도 있었지만(2017년 카탈루냐 독립운동) 2017년 10월 17일 건국, 10월 31일에 멸망하여 5일간의 독립에 그치고 말았다. 현재 카탈루냐 지방의회는 독립에 찬성하는 정당들이 과반의석을 차지했고 이에 따라 작은 갈등이 계속 벌어지고 있는 것 같다. (참고로 북한은 카탈루냐 독립을 인정했다)

우리가 방문하는 각 도시의 자치주는 아래와 같다. 

 

  ㅁ 마드리드 - 마드리드

  ㅁ 세비야, 그라나다 - 안달루시아

  ㅁ  바르셀로나 - 카탈루냐

 

4. 스페인은 지중해 연안국가

1

 

지중해는 유럽과 아프리카, 아시아(중동)로 둘러싸인 면적 약 250만 km²의 바다이고 스페인은 가장 왼쪽에 위치해 있다. 위치를 보면 왜 해물요리가 유명한 지 이해가 된다. 

지중해 연안 국가니 당연히 1년 내내 따뜻하고 살기 좋다. 좀 좋은 동네에는 은퇴한 유럽인들이 많이 이민을 간다고 한다. (부럽..). 전 지역이 따듯한 건 아니고 스키를 탈 수 있을 정도로 눈이 내리는 곳도 있다고 하니.. 놀기 좋은 나라인 건 확실하다. 지중해 연안의 기후는 동아시아 지역과 달리 여름철에 강수량이 적고 건조하며 대신 겨울에 습하고 강수량이 많으며 비나 눈이 내린다고 한다. 올리브가 이런 기후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스페인 역시 올리브유를 많이 생산하는 나라이다.  

 

 ㅁ 스페인은 국토의 75%가 사막화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지리적 위치로 기온이 높은 탓도 있지만 농작물 재배로 인해 지하수가 고갈되어 토양이 점점 건조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부 해양 도시에서는 수돗물을 틀면 바닷물이 나와 급수를 중단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고 한다. 특히 아보카도는 농작물 중에서도 물 사용량이 가장 많은 과일로 꼽히는데 최근 아보카도의 수익성이 높아지면서 이를 재배하는 농가가 많아져 물 부족 문제가 더 심화되고 있다고 한다. 이베리아 반도에 있는 나라가 왜 물이 부족한 지 직관적으로는 잘 이해가 되지 않지만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니 이 문제가 빨리 해결되길 바란다. 그래야 우리 아이들이 큰 다음에 또 스페인에 여행을 올 수 있지 않겠는가...

 

5. 스페인 출신 유명한 사람

크리스토퍼 콜럼버스(1450~1506),  메르디난드 마젤란(1480~1521), 화가 벨라스케스(1599~1660), 화가 프란시스고 데 고야(1746~1828),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1852~1926), 화가 파블로 피카소(1881~1973), 화가 살바도르 달리(1904~1989).  베우 페넬로페 크루즈(1974~), 베우 하이베르 바르뎀(1969~), 배우 안토니오 반데라스(1960~), 가수 로살리아(1992~) 등

 

 

6. 스페인 유명 브랜드

Camper(깜페르) :  신발

Tous(토스) : 명품 주얼리

LOEWE(로에베) : 명품 의류, 악세서리, 잡화 등

ZARA(자라) :  의류, 잡화 등

UTERQUE(우테르케) : 잡화

Massimo Dutti(마시모 두띠) : 의류, 잡화

Pull & Bear(풀앤베어) : 의류, 잡화

Bershka(버쉬카) : 의류, 잡화

Chupa Chups(츄파춥스) : 사탕, 제과류

SEAT(세아트) : 자동차

 

내가 스페인에 간다고 하니 캠퍼(camper)를 사오라는 분이 많았다. 위의 의류브랜드 중 자라, 풀앤베어, 버쉬카, 마시모두띠는 모두 Inditex라는 기업의 브랜드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엘지패션이나 세정그룹 같은 건가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