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대에 가장 위험한 투자는 '자기계발'이다

by planner_l 2025. 11. 7.
반응형

당신은 지금 온라인 강의 플랫폼에 몇 개의 수강권을 쌓아두고 있나요? 책장엔 읽지 않은 자기계발서가 몇 권이나 꽂혀 있나요? 혹시 이번 달에도 '자기 투자'라는 명목으로 또 무언가를 결제하지 않았나요?

요즘 20대들은 '자기계발'이라는 단어에 중독되어 있습니다. 주말마다 스터디 카페에 앉아 있고, 퇴근 후엔 온라인 강의를 듣고, SNS엔 아침 루틴과 독서 인증이 넘쳐납니다. 누구나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어하고, 뒤처지지 않고 싶어하죠. 하지만 여기엔 치명적인 함정이 있습니다.

 

1. 자기계발은 '준비'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심리학자 애덤 그랜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완벽한 준비는 행동하지 않으려는 핑계다." 20대들이 빠지는 가장 큰 착각은 바로 이겁니다. 준비가 다 되면 시작하겠다는 생각이죠.

영어 회화 강의를 5개 들었지만 정작 외국인 앞에선 한마디도 못하고, 마케팅 책을 10권 읽었지만 실제 캠페인 하나 기획해 본 적 없고, 코딩 강의는 수십 시간 들었지만 포트폴리오엔 완성된 프로젝트가 하나도 없습니다. 이게 바로 '준비 중독'의 전형적인 모습이에요.

문제는 준비에만 매달리면 실전 감각을 잃는다는 겁니다. 스탠퍼드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실패를 경험한 집단이 실패를 피한 집단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한다고 합니다. 20대에 가장 필요한 건 완벽한 지식이 아니라 불완전한 경험입니다.

실리콘밸리의 전설적인 투자자 피터 틸은 말합니다. "완벽하게 준비된 사람은 없다. 세상을 바꾼 사람들은 준비가 안 됐을 때 시작한 사람들이다." 스티브 잡스는 대학을 중퇴했고, 마크 저커버그는 하버드를 그만뒀습니다. 그들이 성공한 이유는 '더 배우지 않아서'가 아니라 '배운 것을 바로 실행했기' 때문입니다.

 

2. 방향 없는 자기계발은 시간의 블랙홀이다

자기계발이 위험한 또 다른 이유는 방향성 없이 이것저것 배우다 보면 시간만 낭비된다는 겁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기회비용'의 가장 명확한 사례죠.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의 연구에 따르면, 성공한 사람들의 80%는 한 분야에 집중했고, 실패한 사람들의 70%는 여러 분야를 전전했다고 합니다. 즉, 자기계발의 핵심은 '많이 배우기'가 아니라 '선택과 집중'입니다.

20대는 시간이 무한하다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상은 다릅니다. 철학자 니체는 "영원회귀"라는 개념으로 이를 설명했죠. 만약 당신의 오늘이 평생 반복된다면, 그 삶을 살 수 있겠는가? 지금 듣고 있는 강의들, 읽고 있는 책들이 정말 당신의 미래를 바꿀 것인가를 냉정하게 물어야 합니다.

탈레브는 그의 저서 『안티프래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취약한 것은 충격에 부서지지만, 강인한 것은 충격 속에서 더 강해진다." 자기계발 강의는 당신을 취약하게 만듭니다. 머릿속엔 지식이 쌓이지만, 현실의 충격엔 무력하죠. 반면 실제 경험은 당신을 안티프래질하게 만듭니다. 실패할수록, 부딪힐수록 더 단단해지는 거예요.

 

3. 진짜 투자는 '경험'에 있다

그렇다면 20대는 무엇에 투자해야 할까요? 답은 명확합니다. 경험입니다.

월튼 버핏의 파트너 찰리 멍거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무엇을 갖고 싶다면 그것에 걸맞은 자격을 갖춰라." 자격은 강의 수료증이 아니라 실전에서 얻은 상처와 성과입니다.

20대 초반 스타트업에서 밤샘 근무하며 망한 프로젝트 하나. 그게 명문대 MBA보다 값진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일론 머스크와 제프 베조스는 20대에 여러 번의 실패를 겪었고, 그 경험이 이후 테슬라와 아마존을 만드는 밑거름이 됐습니다.

미국 경제학 연구기관 NBER의 데이터를 보면, 창업가의 평균 성공 나이는 45세입니다. 하지만 그들 대부분은 20대에 최소 2번 이상의 실패를 경험했죠. 즉, 20대의 실패는 자산이고, 20대의 준비는 부채입니다.

실전 경험을 쌓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렇습니다. 첫째, 작게라도 시작하세요. 마케팅을 배우고 싶다면 강의 듣지 말고 친구 가게 SNS를 직접 운영해 보세요. 둘째, 실패를 기록하세요. 실패의 원인은 기억 속에 남지 않습니다. 기록만이 반복을 멈춥니다. 셋째, 혼자 하지 마세요. 당신보다 한 걸음 앞선 사람의 조언은 10년치 시행착오를 하루로 줄여줍니다.

 

4. 자기계발 중독에서 벗어나는 법

그렇다면 어떻게 자기계발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첫째, 72시간 규칙을 적용하세요. 새로운 강의나 책을 구매하기 전에 72시간을 기다려 보는 겁니다. 감정의 파도가 가라앉을 때까지요. 그 사이에 진짜 필요한지 아니면 단순한 불안감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둘째, '배움 대 실행' 비율을 체크하세요. 한 달에 배운 시간과 실제로 적용한 시간을 비교해 보세요. 만약 배움이 80% 이상이라면, 당신은 지금 준비만 하고 있는 겁니다. 이상적인 비율은 배움 30%, 실행 70%입니다.

셋째, 결과물을 만드세요. 강의를 듣거나 책을 읽었다면 반드시 결과물을 만들어야 합니다. 블로그 글 하나, 작은 프로젝트 하나, 누군가에게 가르친 경험 하나. 결과물 없는 배움은 사라집니다.

행동경제학자 대니얼 카너먼은 말합니다. "사람들은 행동하지 않은 것보다 행동한 것을 더 후회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정반대다." 20대가 끝나고 30대가 되면 후회하는 건 '시도하지 않은 것들'입니다. 들었던 강의가 아니라 하지 못한 도전이죠.

 

자기계발은 나쁜 게 아닙니다. 하지만 방향 없는 자기계발은 독입니다.

20대는 준비하는 시기가 아니라 부딪히는 시기입니다. 완벽하게 준비된 사람은 없습니다. 세상은 불완전한 당신을 기다리지 않습니다. 지금 당장 시작하세요.

강의 하나를 더 듣기보다, 프로젝트 하나를 더 망쳐 보세요. 책 한 권을 더 읽기보다, 사람 한 명에게 배운 것을 가르쳐 보세요. 자격증 하나를 더 따기보다, 실패 경험 하나를 더 쌓아 보세요.

당신의 20대는 강의 수료증이 아니라 상처와 성과로 채워져야 합니다. 그게 진짜 자산이니까요.

지금 당장, 준비를 멈추고 시작하세요.

반응형